배관 및 밸브 등에 설치되어 공정 유체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거나, 동계시 유체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Steam Tracing 또는 Electric Heat Tracing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. Steam Tracing은 말 그대로 공정 배관 및 밸브 주위에 작은 사이즈의 스팀 배관을 설치하여 스팀을 공급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이며, Electric Heat Tracing은 공정 배관 및 밸브 주위에 열선을 설치하여 전기에너지를 열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하게 됩니다.
※ 참고 : Steam Tracing 외에도 Hot-Water, 열매체 등의 열원을 이용한 Heat Tracing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됨
이 중 Electric Heat Tracing의 방법도 다양하게 있으며, 대표적으로 정온전선(Self regulating type), 정전력히터(Constant wattage type), 벨트 히터(Belt heater type) 방식 등이 있습니다. 안전하고 원하는 성능의 열공급을 위해서는 적절한 시공 및 검사가 필수적인데요.
전기 히팅 케이블(Electric Heating Cable) 제작사 마다 시공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강조하는 부분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열선을 겹처서 시공시 축열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겹처서 사용하지 말 것 (특히, 정전력히터의 경우, Crossing 금지)
- 아래와 같이 정전력 히팅 케이블에 대해 Crossing을 금지하고 있습니다.
(사진 : THERMON社 설치 매뉴얼 중)
2. 열선은 최소곡률 반경(Min. Bending Radius)를 준수할 것
- 각 업체 별로 제작되는 전기 열선에 대해서는 최소곡률반경이 명시되어 있습니다.
(사진 : 미래이텍社 설치 매뉴얼 중)
(사진 : RAYCHEM社 설치 매뉴얼 중)
3. 열선 설치 전/후 절연저항 검사를 실시할 것
- 다음과 같이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열선에 고압을 걸어서 절연상태가 양호한지 반드시 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.
(사진 : THERMON社 설치 매뉴얼 중)
(사진 : RAYCHEM社 설치 매뉴얼 중)
(사진 : 미래이텍社 설치 매뉴얼 중)
전기 열선의 부적절한 시공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. 최초 설치시 위에 언급된 사항 외에도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안전 사항을 반드시 준수하여 시공/검사하고,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실시하여 전기 열선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해야겠습니다.
'기술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소 농도에 따른 인체 반응 (0) | 2020.09.25 |
---|---|
Pressure Regulator (레귤레이터, 조절 장치, 조정 기기) (0) | 2019.10.12 |
CSO(Car Sealed Open)와 CSC(Car Sealed Close) (0) | 2019.05.16 |
폭발한계에 따른 위험도 및 혼합가스 폭발한계 계산 (3) | 2019.01.26 |
화재하중에 대한 정의 및 계산 방법 (0) | 2019.01.25 |